첫 화면으로 이동
닫기 | 인쇄 |


대전>행정
충청권,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한다는데...
기사작성 : 2019-02-07 22:06:11
이용민 기자 yongmin3@daum.net

  

 ▲(왼쪽부터)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이 7일 오전 11시 20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시사터치 이용민 기자] = 충청권 시장·도지사들이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7일 오전 11시 20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협력하는 협약서에 서명했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이날 확고한 2030 아시안게임 유치 의지를 표명해 국내·외 유치 경쟁력을 확보하고, 아시아올림픽평의회의 2030년 대회 개최지 조기 확정 추진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또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으로 아시안게임을 개최하고,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등 저비용, 고효율의 선례를 마련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기장 건설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아시안게임 유치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충분히 고려해봐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내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받는다.

  타당성 조사 결과 아시안게임 유치 효과가 부족하다고 나오면 대회 개최가 무산될 수도 있다.

  협약식에 이어 대전시청 기자실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한선희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정부에서 하는 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이게 끝나면, 문화체육부와 기획재정부에서 타당성 용역을 검토한다. 이를 통과해야 한다. 물론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제 경기대회 유치로 인해 천문학적인 세금을 들여 건설한 경기장들이 애물단지로 전락한 사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장 최근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은 TV프로그램 명견만리에도 소개될 정도로 사후관리가 심각한 상황이다.

  한선희 국장은 “사후 활용에 대해 걱정이 많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몇 가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시설에 대해 기본적으로 스포츠마케팅 전략을 잘 짜야 한다. 큰 규모의 경기장을 지어놓고 방치하는 게 아니고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관건이다. 이 부분도 올해부터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대전에 건설돼 있는 월드컵 축구 경기장도 매년 적자 운영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한 국장은 “활용도 측면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보완해야 한다. 특히 스포츠 마케팅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문광부에서 매년 국제규모의 대회에 국비 지원을 해주는데 17곳 지원에서 충청은 없다. 인프라가 부족해서다.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면 이런 전략들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허태정 시장도 다른 도시의 국제대회 유치와 달리 충청권이 공동 유치하는 만큼 예산이나 사후 유지보수에도 수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허 시장은 “4개 시도에 4~5개의 경기장을 분산해 건설한다는 측면에서 경기 후 시설 유지보수에도 부담이 적을 것”이라며 “분산 개최해 기존 도시 시설을 활용하면 비용을 현격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현재 대전시의 분석에 의하면, 기존 시설을 활용하면서 새로 건설해야 하는 경기장은 17개로, 4개 시도가 나눠 건설하면 4~5개 경기장을 각각 건설해야 한다. 충청권 개최가 2021년 확정된다면 이를 위한 예산도 4개 시도가 각각 매년 300~400억 원씩 10년 간 적립해 필요 비용을 조달하게 된다. 한 지자체가 3천억 원 이상씩 부담하는 것이다.

  한선희 국장은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을 개최 하면 건축비의 30%와 토지매입비를 지원한다. 또 도시를 새롭게 하는 사회간접자본(SOC) 시설비도 50% 지원한다.”며 장밋빛 미래를 전망했다.

  허태정 시장은 아시안게임 유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국내에 개최 희망 도시가 두 곳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충청권 공동개최를 위해 올해는 국내에서, 내년부터는 아시아권에서도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선희 국장도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서 비용의 문제로 도시 단독 개최보다는 공동 개최를 선호하고 있다.”며 유치 가능성을 점쳤다.

  한편,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한 주요 일정은 이날 공동유치 업무협약에 이어 이달 중 유치 TF팀 구성, 3월~12월 기본계획 수립, 6월~9월 유치위원회 구성, 9월 희망도시 공모, 12월(예상) 국내 후보도시를 확정한다.

또 내년 1월 유치추진단 구성, 1월~2021년 6월 타당성 조사, 2021년 6월 대회유치 승인 및 유치신청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제출, 2021년 9월~12월 현지 실사를 거쳐 2022년 상반기 개최도시가 확정될 예정이다.

/yongmin3@daum.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시사터치>

닫기 | 인쇄 |